
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채상병 사망 사건 당시 국군방첩사령부(방첩사) 소속 해병대 파견부대장을 지낸 문모 대령을 29일 소환해 조사 중이다. 법조계에 따르면 문 대령은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를 받고 있다.
문 대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채상병 사망 사건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했다는 이른바 ‘VIP 격노설’을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에게 전한 당사자로 지목돼 왔다.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김 전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복원한 통화 녹음 파일에는 “박정훈(당시 해병대 수사단장) 대령이 VIP 격노를 알고 있고 폭로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막아야 한다”는 취지의 대화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.
김 전 사령관은 군사법원과 국회 국정감사 등에서 줄곧 격노설을 부인했지만, 지난 23일 구속 전 피의자심문(영장실질심사)에서 당시 대통령이 화가 났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진술을 번복했다.
문 대령은 또한 ‘VIP 격노설’의 진원지로 지목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 주재 외교·안보 수석비서관회의 이후 작성된 동향 보고 문건의 작성자로 알려져 있다. 해당 문건에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채 상병 사망 사건 관련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상부 지시가 있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.
특검팀은 문 대령을 상대로 △‘VIP 격노설’의 실체와 전달 경위 △방첩사가 관련 정황을 언제, 어떻게 인지했는지 △회의 이후 작성된 문건의 작성 배경과 상부 지시 여부 등을 폭넓게 확인할 방침이다. 특검 관계자들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자 추가 소환 및 압수물 분석을 이어가며 수사 외압 의혹의 초기 형성과정 규명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.
<저작권자 © 아주로앤피 (www.lawandp.com)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>